본문 바로가기
운동,스포츠

하림지주, PBA 프로당구 10번째 구단 창단 스포츠 마케팅 새판 짠다

by nicejjong 2025. 5. 15.

PBA 프로당구 10번째 구단 창단

하림지주, PBA 프로당구 10번째 구단 창단

종합식품기업 하림, 프로당구와 손잡고 스포츠 시장 본격 진출


하림지주가 2025-26시즌부터 PBA 프로당구 팀리그에 10번째 구단으로 공식 참여하면서
국내 스포츠 마케팅에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했습니다.
PBA,LPBA 1개 대회의 메인 타이틀 스폰서로도 나선 하림은
프로당구의 저변 확대와 브랜드 가치 상승을 동시에 노립니다.


하림 PBA 구단 창단, 국내 당구 리그에 새 바람

2025년 7월 개막하는 ‘웰컴저축은행 PBA 팀리그 2025년 26년’ 시즌부터
하림은 새롭게 구성된 팀으로 리그에 참가합니다.
이로써 PBA는 창설 6시즌 만에 10개 구단 체제를 완성했습니다.

이는 2019년 프로당구 출범 이후 7년 만의 중요한 성과이며,
팀 창단은 하림이 당구 팬층 확대에 본격적으로 기여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됩니다.


타이틀 스폰서로서의 하림 역할과 기대감

하림은 단순한 팀 창단에 그치지 않고
2025년 26년 시즌부터는 PBA,LPBA 단일 노선의 타이틀 스폰서로 참여합니다.

이는 리그 전체의 흥행 및 운영 안정성 강화는 물론,
브랜드 마케팅 확장을 위한 전략적 투자로 풀이됩니다.
"프로당구가 스포츠 콘텐츠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힘을 보태겠다"는 입장이며
PBA의 글로벌화 움직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하림지주 기업 배경 및 스포츠 진출의 의미

하림은 1978년 익산에서 시작해 축산, 사료, 식품 제조, 물류까지
국내 식품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기업으로 성장해왔습니다.

 

항목 내용

창립 연도 1978년
주력 사업 축산, 사료, 식품 유통, 해운
2025년 재계 순위 27위
자산 규모 약 17조 원

하림의 스포츠 진출은 단순한 후원이 아닌,
지속 가능한 콘텐츠 확보와 ESG 경영 확대의 일환으로도 해석됩니다.


ESG 경영과 사회공헌 연결 전략

하림은 ESG경영, 동물복지, 사회공헌 활동을 꾸준히 실천해왔습니다.
프로당구 후원 역시 이런 연장선상에 있으며
"지역 커뮤니티와 함께 성장하는 스포츠 지원"을 핵심 가치로 두고 있습니다.

향후 청소년 당구 교육 프로그램이나
지역 스포츠 이벤트 연계 등을 통해 사회적 책임 경영도 병행할 계획입니다.


2025년, 26년 시즌 하림 PBA팀 선수단 구성

하림은 창단팀 우선지명 권한을 활용해
전도유망한 선수 6인을 우선 확보했습니다.

 

선수명 성별/국적 주요 경력 나이

김준태 남/한국 국내 4위, 아시아챔피언 30
박정현 여/한국 국내 여자 2위 21
김영원 남/한국 최연소 PBA 프로 17
김상아 여/한국 LPBA 챔피언 37
쩐득민 남/베트남 3쿠션 선수 43
그레이 우옌엉프린 남/베트남 베트남 대표 31

2025년 5월 14일 드래프트를 통해
추가 선수 영입도 진행하며, 전력 강화를 도모할 예정입니다.


10개 구단 체제의 상징성과 구조적 안정화

하림의 참여로 PBA는 명실상부 10개 구단 체제를 완성했습니다.
이는 리그 운영 효율성과 흥행 구도의 안정화를 뜻합니다.

현재 10개 구단은 아래와 같이 구성됩니다.

 

구단 수 리그 시즌 주요 변화

10개 2025-26 하림 창단으로 구조 안정
기존 팀 수 9개 2024-25까지 운영
신생팀 하림 유일 신생 구단

팀이 늘어나면서 경기수 증가, 팬 참여 기회 확대,
지역 연고 기반 형성 등 다양한 시너지 효과가 기대됩니다.


과거부터 이어진 하림과 당구의 인연

하림은 과거 ‘하림배 3쿠션 마스터즈’ 개최를 통해
당구 팬층과 지속적인 접점을 만들어왔습니다.
이는 단발성 이벤트가 아닌 브랜드 철학을 담은 중장기 전략이었으며
이번 구단 창단으로 결실을 맺은 셈입니다.

"단순한 후원이 아닌, 프로당구 발전의 동반자"라는 메시지를 통해
스포츠 문화 콘텐츠 기업으로의 도약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향후 과제와 스포츠 마케팅 기대 효과

하림은 이제 스포츠단 운영을 통한 브랜드 이미지 제고는 물론
내부 마케팅 채널 강화, 고객 경험 접점 확대 등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중장기적으로는 글로벌 팬 확보와 함께
프로당구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콜라보 및 콘텐츠 제작도 검토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무엇보다 국내 스포츠 콘텐츠 시장의 다양성 확보에 기여하는 사례로 평가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