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인지내막증, 정상적인 통증이 아닙니다

by nicejjong 2025. 10. 8.

인지내막증, 정상적인 통증이 아닙니다

진통제만 먹고 참아왔던 통증, 혹시 인지내막증일까요?

여성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경험하는 생리통. 하지만 그 통증이 일상생활을 방해할 정도로 심하다면 단순한 생리통이 아닐 수 있습니다. 인지내막증은 초기에 발견되지 않으면 오랜 시간 고통을 유발할 수 있으며, 최근 국내 환자 수가 급격히 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인지내막증의 주요 증상부터 진단 지연의 현실, 수술과 재발 문제, 그리고 사회적 지원제도까지 폭넓게 알아보겠습니다.


증상을 가볍게 넘기면 안 되는 이유

많은 여성들이 극심한 생리통이나 성교통, 배뇨·배변 시 통증을 단순한 '여성 질환'의 일부로 받아들이곤 합니다. 그러나 인지내막증은 그 자체로 질병이며, 전체 환자의 약 30%는 증상이 거의 없어 진단조차 늦어지기 쉽습니다. 특히 군대 문제나 심리적 스트레스로 오인되어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도 많습니다.


진단까지 평균 5~10년, 그 긴 시간

인지내막증은 단순한 생리통과 구별하기 어렵고, 산부인과 방문을 주저하는 사회 분위기 또한 진단을 지연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국내 인지내막증 환자 수는 최근 5년간 50%나 증가했고, 정확한 진단까지 평균 5~10년이 소요된다고 합니다.


수술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언제일까?

통증이 약물 치료로도 호전되지 않거나, 난소 내에 3cm 이상 크기의 내막종이 발견되는 경우 수술이 권장됩니다. 대부분 복강경을 통해 병변을 제거하는데, 수술 후 95% 이상이 통증 완화를 경험한다고 보고됩니다.


재발도 흔한 인지내막증, 꾸준한 관리가 필수

문제는 재발입니다. 수술 후 5년 내 재발률은 60%에 달한다고 합니다. 전문가들은 수술 후에도 꾸준한 약물 치료와 주기적인 추적 검사를 통해 재발률을 낮출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연령별 증가 추세, 젊은 여성층도 예외 아니다

인지내막증은 40대 여성에게서 가장 많이 발견되지만, 최근에는 20~30대 젊은 여성들의 환자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5년 사이 47% 이상 늘어났으며, 이는 젊은 여성들의 가임력 저하와도 연결됩니다.


인지내막증, 난임과도 깊은 연관

난임 여성의 30~50%에서 인지내막증이 발견된다는 통계가 있습니다. 2022년 기준 국내 난임 진단 건수는 20만 건을 넘었으며, 그만큼 인지내막증은 출산 문제에도 영향을 미치는 질병입니다.


이제는 국가에서도 인지내막증을 돕는다

2025년부터는 20~49세 여성이라면 누구나 인지내막증 진단을 위한 초음파검사와 AMH(난소기능)검사를 최대 13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고통을 견디는 것이 미덕이 아닌 시대,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여성 건강과 인지내막증, 알아두면 좋은 정보

구분 내용

주요 증상 생리통, 성교통, 배뇨통, 배변통 등
진단 소요 기간 평균 5~10년
수술 권장 조건 난소 내막종 3cm 이상 또는 약물 반응 없는 통증
수술 후 통증 개선율 약 95%
재발률 5년 내 60%
지원 제도 초음파·AMH검사 최대 13만 원 국가 지원 (2025년 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