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저림, 단순 증상일까? 뇌 질환의 경고일 수 있습니다
손저림이 단순한 순환 문제일 거라는 생각, 과연 맞을까요?
손저림은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이지만, 단순 피로나 혈액순환 문제로 치부해 방치하기엔 위험할 수 있습니다. 최근 신경과 전문의들은 손저림이 단순한 말초 증상이 아닌 뇌질환의 초기 신호일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특히 두통, 어지럼증, 언어장애 등 중추신경계 관련 증상과 함께 나타날 경우 즉각적인 검사가 필요하다는 최신 데이터를 중심으로 손저림의 심각성과 대처 방안을 살펴보겠습니다.
손저림, 단순 피로나 혈액순환 문제가 아닐 수 있습니다
손저림이 자주 발생하고 반복될 경우 단순한 자세 문제나 수면 중 압박이 원인이
아닐 수 있습니다. 실제로는 말초신경질환이나 척추 이상, 심지어 뇌졸중의
전조증상일 수도 있다는 점에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지속적으로
양쪽 혹은 한쪽 손만 저리는 경우에는 신경계 검사를 고려해야 합니다.
신경과 전문의의 권고, 중추신경계 검사는 선택이 아닌 필수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신경과 이혜림 교수는 “손과 발의 저림은 반드시 원인을
정확히 구분해야 하며, 필요 시 신경전도검사와 MRI 등의 정밀검사를 받아야
합니다”고 강조합니다. 단순 저림이 아닌 경우, 조기 진단이 환자의 삶의 질을
크게 좌우할 수 있습니다.
손저림을 유발할 수 있는 주요 신경계 질환 정리
질환명 주요 증상 진단 필요성
뇌졸중 | 언어장애, 편측마비, 측면 저림 | MRI, CT 필수 |
다발신경병증 | 손발의 밤 시간대 심한 저림 | 신경전도검사 필요 |
수근관증후군 | 엄지~중지 손가락의 저림, 손목 통증 | 근전도 검사 권장 |
경추 디스크 등 척추질환 | 목 통증과 함께 팔 또는 손의 저림 | MRI, 엑스레이 검사 |
대사성 질환 | 당뇨, 갑상선 문제 등과 관련된 저림 | 대사검사 필수 |
국내 신경과 데이터로 본 손저림의 위험 비율
2025년 대한신경과학회 발표에 따르면, 신경과 외래 환자 중 약 13%~15%가 손저림과
함께 뇌졸중, 척수염, 다발성 경화증 등의 중추신경계 질환 의심으로 병원을
방문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발병 48시간 이내 이상감각이 동반되는 경우는 전체
등록자의 약 22%를 차지했습니다. 이 수치는 손저림이 뇌질환의 중요한 징후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합니다.
정밀 검사의 중요성, 주요 검사법별 특징 요약
검사명 목적 검사 시간 및 활용도
신경전도검사(NCS) | 말초신경 감별 필수 검사 | 약 30분 내외, 신뢰도 87% |
MRI | 중추신경계 이상 감별 | 연간 약 10만 건 촬영 |
근전도검사 | 말초신경 원인 여부 구분 | 통증 여부에 따라 선택 진행 |
뇌척수액 검사 | 염증성 신경질환 감별 | 다발성경화증 등 진단 활용 |
조기 대처가 필요한 손저림 증상 체크리스트
특히 아래와 같은 증상이 동반된다면 즉시 병원 내원 및 검사가 권장됩니다.
- 두통, 어지럼, 언어장애
- 입술, 얼굴의 저림
- 팔이나 다리의 힘 약화
- 걷기 어려움, 균형 문제
- 2주 이상 지속되는 저림 증상
이런 증상들이 있다면 단순 저림이 아닌 중추신경계 문제일 가능성을 의심해야
합니다.
손저림 지속 시, 만성 질환 연결 가능성 주의
만성 손저림 환자의 약 10%~12%는 6개월 이내에 중추성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데이터도 존재합니다. 특히 말초 증상처럼 보이지만 뇌나 척수 병변이 숨어 있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2주 이상 저림 증상이 지속될 경우 반드시 전문 진료가
필요합니다. 조기 진단이 곧 회복의 핵심입니다.
일반적인 손저림과 질병 연결 가능성 데이터 요약
분류 손저림 발생 비율 주요 연결 질환
1차 순환 문제 | 약 25% | 혈액순환 장애, 수면자세 등 |
2차 신경계 이상 | 약 30% | 뇌졸중, 경추 질환, 말초신경장애 |
원인 불명 | 약 20% | 대사성 질환, 스트레스성 장애 등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 떨림이 계속된다면 ‘이 질환’ 의심해보세요 (0) | 2025.08.22 |
---|---|
다리에 쥐 자주 난다면, 이 한 가지 영양소가 부족한 신호입니다 (4) | 2025.08.22 |
무좀 유병률 70%, 당신의 발은 안전한가요? (0) | 2025.08.21 |
갱년기 여성이라면 꼭 알아야 할 콩 단백질 섭취 비결 (0) | 2025.08.21 |
저염식만으로 안 되는 이유? 염저항성과 저항성 고혈압의 진실 (8) | 2025.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