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위산 역류 방치하면 식도암 위험 최대 30배? 바렛식도 경고 신호

by nicejjong 2025. 10. 6.

위산 역류 방치하면 식도암 위험 최대 30배? 바렛식도 경고 신호

위식도역류질환과 식도암, 얼마나 위험한가요?

위산 역류 증상을 자주 겪고 계신가요? 단순한 속쓰림으로 넘기기에는 그 위험이 너무 큽니다. 위식도역류질환(GERD)은 반복적인 위산의 역류로 인해 식도 점막이 손상되며, 장기적으로는 식도암, 특히 바렛식도라는 전암성 상태로까지 발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글에서는 GERD의 위험성과 예방법, 바렛식도의 경고 신호에 대해 자세히 안내드릴게요.


GERD란 무엇이고 왜 위험할까요?

GERD는 위산이나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해 점막에 손상을 주는 질환이에요. 단순히 속쓰림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염증, 궤양, 협착으로 이어질 수 있고, 심할 경우 바렛식도라는 전암성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바렛식도가 생기면 식도 샘암종 위험이 일반인보다 최대 30배까지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일부 해외 연구에서는 40~50배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습니다.


국내 GERD 환자 수는 얼마나 될까?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국내 위식도역류질환 환자 수는 무려 486만1482명에 달합니다. 특히 서구화된 식습관, 비만, 스트레스, 야식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매년 증가하는 추세에 있습니다.

아래 표를 통해 최근 3년간 환자 수 변화 추이를 살펴보세요.

연도 GERD 환자 수 증가율

2021 432만 명 -
2022 461만 명 +6.7%
2023 486만 명 +5.4%

바렛식도, 왜 무서운가요?

바렛식도는 식도 점막이 정상적인 편평세포에서 장형 원주세포로 바뀌는 상태입니다. 이 변화는 전암성 병변으로 간주되며, 시간이 지나면 식도 샘암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GERD 증상이 5년 이상 지속될 경우 바렛식도 위험이 3배, 10년 이상이면 6.4배로 높아진다고 알려져 있어 조기 발견이 매우 중요합니다.


주요 위험 요인은 무엇일까?

GERD와 식도암의 공통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푸시비만(복부비만)
  • 흡연
  • 음주
  • 고지방 식사, 야식, 과식
  • 커피, 탄산음료 등 자극적인 음료 섭취
  • 식도열공 탈장

특히 체질량지수(BMI)가 25kg/m² 이상인 경우 식도 샘암종 위험이 2.6배까지 증가한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GERD 증상, 무시하면 안 되는 이유

GERD의 대표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속쓰림, 가슴 쓰림
  • 신물 올라옴
  • 목 이물감, 쉰 목소리
  • 만성 기침
  • 삼킴 곤란

이러한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된다면 반드시 병원을 방문해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특히 음식 삼킬 때 통증이 느껴지거나 토혈, 체중 감소 등이 동반될 경우 식도암 가능성까지 의심해볼 수 있어요.


치료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GERD 치료의 핵심은 위산 분비를 조절하고 역류를 막는 것입니다. 가장 흔히 사용되는 약물이 바로 프로톤펌프억제제(PPI)입니다. 이 약은 위산 생성을 억제해 염증을 완화하고 점막을 보호하는 역할을 해줍니다.

  • 복용 시기: 공복 상태에서 아침 식전 30~60분 전 복용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치료 후에도 증상이 반복될 경우 수술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생활습관 개선이 중요합니다

GERD 예방과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약물만큼이나 생활습관이 중요해요.

  • 식후 2~3시간 이내 눕지 않기
  • 수면 시 머리를 10~15cm 정도 높이기
  • 기름진 음식, 알코올, 카페인 섭취 제한
  • 체중 감량
  • 끼니 규칙적으로 먹기

아래 표는 GERD 예방을 위한 생활습관 요약입니다.

생활습관 항목 개선 방법

식사 후 자세 2~3시간 이내 눕지 않기
수면 환경 머리 높여 수면하기
식단 관리 기름진 음식, 자극물 제한
체중 관리 BMI 25 미만 유지

정기적인 내시경 검사는 필수

GERD 환자라면 정기적인 위내시경을 통해 식도 상태를 확인하고, 바렛식도 여부를 점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바렛식도는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기 때문에 검진 없이는 발견이 어렵습니다.

의심 증상이 있다면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하여 검사를 진행하세요. 조기 발견이 생명을 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