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에 심해지는 잇몸 통증, 원인과 예방법은?
무더운 여름, 잇몸이 왜 유난히 아플까요?
여름철만 되면 잇몸이 붓고 아픈 느낌을 받는 분들이 많습니다.
실제로 통계에서도 잇몸병 환자가 여름철에 눈에 띄게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제는 중장년층뿐만 아니라 30~40대 젊은 세대에게도 흔한 질환이 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여름철 잇몸 통증이 심해지는 이유와 예방을 위한 실질적인 방법들을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여름철 잇몸 통증, 진짜 많아지는 걸까?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24년 통계에 따르면
잇몸병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무려 1,958만 명에 달합니다.
이는 감기보다도 많은 수치이며, 월별 진료 인원은 7월~8월에 특히 급증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월 평균 진료인원(명)
5월 | 722,000 |
6월 | 738,000 |
7월 | 775,000 |
8월 | 794,000 |
특히 7월과 8월, 장마와 폭염이 겹치는 시기에
잇몸병 증상이 두드러지게 악화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습니다.
기압과 습도가 잇몸에 미치는 영향
여름철 기상 조건은 잇몸에 큰 영향을 줍니다.
기압이 낮아지면 치아와 잇몸 내부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잇몸 안의 혈관과 신경이 팽창하면서 통증이 유발됩니다.
특히 치수염이 있는 경우, 낮은 기압과 습도가 통증을 더 악화시킵니다.
밤에 눕거나 잠자기 전 맥박처럼 욱신거리는 통증을 느낀다면,
기압 변화로 인한 신경 자극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여름철 세균 폭발, 잇몸에 독이 된다
잇몸병의 가장 큰 원인은 구강 내 세균입니다.
여름철 고온다습한 환경은 세균이 번식하기에 최적의 조건이 됩니다.
특히 치아와 잇몸 사이에 남은 치석에서 세균이 증식해
풍치와 같은 치주질환을 일으키거나 악화시킵니다.
다음 표는 세균 활동이 활발해지는 환경 조건을 정리한 것입니다.
조건 세균 활성도
고온다습 | 매우 높음 |
건조하고 차가움 | 낮음 |
여름엔 잇몸병 예방을 위해 하루 2~3회 꼼꼼한 칫솔질과
정기적인 스케일링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침의 양이 줄면 잇몸병이 온다
여름엔 갈증이 심해지면서 자연스럽게 침 분비량이 줄어듭니다.
하지만 침은 입 안의 세균을 씻어내는 역할을 하므로
침이 줄면 세균이 빠르게 번식해 잇몸에 염증이 생기기 쉽습니다.
또한 아이스크림, 탄산음료 등 단음식 섭취가 잦아지며
당분이 치아를 부식시키고 잇몸까지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여름철엔 물을 자주 마시고 단 음식을 줄이는 것이
잇몸 건강 유지에 매우 중요합니다.
면역력 저하도 주요 원인입니다
폭염과 열대야로 인해 수면의 질이 떨어지고,
더위로 인한 피로 누적으로 면역력이 떨어지기 쉽습니다.
이때 구강 내 세균에 대한 저항력도 낮아지면서
잇몸에 염증이 쉽게 생기고 회복 속도도 느려집니다.
특히 여름철 스트레스가 심하거나 식사가 불규칙한 경우,
잇몸 출혈이나 통증 증세가 반복될 수 있습니다.
몸 전체의 건강 상태와 잇몸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니
충분한 수면과 균형 잡힌 식사를 실천해 주세요.
30대~40대도 더 이상 예외가 아닙니다
예전에는 잇몸병이 중년 이후에 생기는 질환으로 여겨졌지만,
이제는 30~40대도 환자 수의 30%를 차지할 정도로 증가했습니다.
양치 중 출혈이 있거나, 치간칫솔 사용 시 잇몸에서 통증을 느끼는 경우라면
조기에 치과에 방문하여 잇몸 상태를 확인받는 것이 좋습니다.
연령대 유병률(%)
20대 | 5.2 |
30대 | 19.3 |
40대 | 39.2 |
50대 | 49.7 |
60대 | 55.2 |
70대+ | 53.2 |
30대부터 가파르게 증가하는 유병률은 예방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여름철 잇몸 건강을 위한 실천법
여름에 잇몸 건강을 지키기 위한 필수 실천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예방 수칙 실천 방법
기초 구강 위생 유지 | 하루 2회 이상 칫솔질, 치간칫솔 병행 사용 |
수분 충분히 섭취 | 하루 1.5L~2L 이상 물 섭취 |
단 음식 섭취 줄이기 | 아이스크림, 탄산음료 섭취 주의 |
정기적인 스케일링 | 6개월에 한 번 치과 정기검진 및 스케일링 권장 |
충분한 수면과 휴식 | 최소 6시간 이상 수면, 면역력 유지에 도움됨 |
이러한 기본 수칙만 잘 지켜도 여름철 잇몸 통증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부터 여름까지 햇빛 알레르기 심해지는 시간과 시기 총정리 (0) | 2025.07.10 |
---|---|
무기력은 게으름이 아니다, 수분 부족이 만든 착각 (0) | 2025.07.10 |
아기 땀띠로 인한 울음? 시원한 환경 하나로 해결! (0) | 2025.07.09 |
장마철 팔다리 쑤신다면? 관절염 전조 신호일 수 있어요! (2) | 2025.07.09 |
아토피 가려움 심할 때, 물 온도부터 점검하세요 (0) | 2025.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