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근시와 난시가 함께 있을 때 눈 피로가 심해지는 이유는?

by nicejjong 2025. 9. 13.

근시와 난시가 함께 있을 때 눈 피로가 심해지는 이유는?

눈의 조절 기능이 과도하게 작동하면서 생기는 불편, 어떻게 줄일 수 있을까요?

근시와 난시는 각각 다른 원인으로 발생하지만, 동시에 존재할 경우 눈의 피로감과 불편감이 눈에 띄게 증가할 수 있습니다. 특히 디지털 기기 사용이 늘어난 현대인의 생활 습관은 이 증상을 더욱 악화시키는데요. 이 글에서는 근시와 난시의 특징, 눈 피로의 원인, 그리고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눈 건강 관리법까지 함께 정리해드립니다.


근시와 난시는 왜 함께 자주 나타날까?

근시와 난시는 서로 다른 기전으로 발생하지만,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근시는 안구 길이가 길어지면서 초점이 망막 앞에 맺히는 반면, 난시는 각막이나 수정체의 곡률 불균형으로 인해 빛이 여러 방향으로 퍼져 초점이 흐려집니다.

이 두 가지가 함께 있으면 눈은 명확한 상을 만들기 위해 조절근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 피로도가 빠르게 누적됩니다.


눈의 조절 기능, 피로를 유발하는 주범

사람의 눈은 자동 조절 기능을 통해 가까운 물체에 초점을 맞춥니다. 하지만 난시나 근시가 심한 경우 이 조절 기능이 과도하게 작동하게 되죠.

특히 난시는 초점이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명확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 과정에서 눈이 쉽게 피로해지고, 충혈이나 이물감, 심한 경우 두통까지 동반될 수 있습니다.


수정체의 노화로 인한 조절 능력 저하

나이가 들면서 수정체의 탄력성이 떨어지고, 눈 조절 능력도 함께 감소하게 됩니다. 특히 40대 이후에는 노안까지 겹치면서 시력 문제가 더욱 복잡해지는데요.

근시나 난시가 있는 사람은 이러한 변화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며, 일상적인 작업조차 눈의 피로를 가중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디지털 기기의 장시간 사용, 눈에 어떤 영향을 줄까?

컴퓨터, 스마트폰 같은 디지털 기기의 사용은 눈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짧은 거리에서 장시간 화면을 응시하면 눈의 조절근이 쉬지 못하고 계속 긴장 상태를 유지하게 되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을 VDT(Visual Display Terminal) 증후군이라고 부르며, 눈이 뻑뻑하고 침침해지며 통증, 충혈, 이물감 등이 나타납니다.


통계로 보는 근시·난시 환자의 증가 추세

연도 근시 유병률 난시 유병률

2013 65% 30%
2015 70% 38%
2020 75% 45%

한국 성인의 불안정 시력 증상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근시와 난시를 함께 가진 인구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는 생활 환경 변화와 디지털 기기 사용 증가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됩니다.


안경과 콘택트렌즈, 올바르게 사용하고 계신가요?

시력 교정을 위해 사용하는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도 잘못된 도수로 착용할 경우 오히려 눈의 피로를 더 심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특히 난시가 있는 경우, 난시 전용 렌즈를 정확한 도수로 맞추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40대 이상은 노안까지 고려한 다초점 렌즈 착용을 권장하며, 정기적인 시력 검사로 도수를 점검하는 것이 좋습니다.


눈 건강을 지키는 생활 습관

눈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선 간단하지만 꾸준한 습관이 필요합니다.

실천 방법 설명

50분 작업 후 10분 휴식 눈 조절근에 휴식을 주세요
먼 곳 바라보기 눈의 긴장 완화에 도움
실내 조명 조절 눈부심 방지와 피로 감소
인공눈물 사용 안구 건조 예방
화면 밝기 조정 눈에 부담을 덜어줌

이외에도 책을 읽거나 디지털 기기를 사용할 때 눈과의 거리를 30cm~40cm 이상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런 증상이 있다면 안과 방문이 필요해요

눈의 피로가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심하거나, 두통과 시력 저하, 시야 흐림 같은 증상이 함께 나타난다면 꼭 안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경우에 따라 시력교정 수술도 고려할 수 있으며, 정확한 진단을 통해 개인에게 맞는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종합 정리: 눈 피로의 주범은 '과도한 조절 기능'입니다

근시와 난시가 함께 있는 경우, 눈은 초점을 맞추기 위해 끊임없이 조절 기능을 사용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눈의 피로, 충혈, 두통 등의 증상이 동반되며, 디지털 기기 사용은 이를 더욱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죠.

정확한 시력 교정과 생활 습관 개선, 주기적인 휴식과 환경 조절이 눈 건강을 지키는 핵심입니다.